티스토리 뷰
반응형
스마트폰 금융 보안 강화하는 3가지 간단 설정법
요즘 50대, 60대 분들을 노린 스미싱·피싱 금융사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문자 한 통에 속아 금융정보를 입력해 피해를 보는 사례가 많습니다. 오늘은 스마트폰에서 간단히 설정할 수 있는 보안 강화 방법 3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따라 해 보세요.
1. 문자메시지 링크 자동 클릭 방지
최근 실제 사례로, 60대 A 씨가 "택배 배송조회"라는 문자에 있는 링크를 눌렀다가 악성 앱이 설치되어 수백만 원이 빠져나갔습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문자에서 바로 링크를 열지 말고, 꼭 공식 앱을 통해 확인하세요.
- 안드로이드 : 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
- 아이폰 : 설정 → Safari → 팝업 차단 켜기
2. 금융앱 간편 비밀번호 대신 생체인증 설정
많은 분들이 숫자 4자리 비밀번호를 그대로 쓰고 계십니다. 하지만 해킹 시도가 점점 교묘해지고 있기 때문에, 지문인식 또는 얼굴인식으로 바꾸는 것이 안전합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생체인증을 설정한 경우 계좌 도용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고 합니다.
- 각 은행 앱 접속 → 설정 → 보안 → 로그인 방식 → 생체인증 켜기
3. 통신사 ‘스팸·스미싱 차단 서비스’ 가입
통신 3사(SK, KT, LG U+) 모두 무료로 제공하는 스팸 차단 서비스가 있습니다. 50대 이상 이용자들은 잘 모르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KT의 경우 'KT 스팸차단' 앱을 설치해 두면 의심 문자나 전화가 오면 자동으로 차단됩니다.
- SKT : T전화 앱 → 스팸 차단 설정
- KT : KT 스팸차단 앱 설치 → 자동 차단
- LGU+ : 후후 앱 설치 → 스팸 번호 차단
스마트폰 보안은 어렵지 않습니다. 링크 클릭 조심 + 생체인증 사용 + 스팸차단 설정 이 세 가지만 해도 대부분의 금융사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번 주말에 가족과 함께 설정해 두고 안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